영화음악

from soul vibration 2011. 2. 26. 03:45


수많은 음악 장르 중, 내가 또 사랑하는
하지만 유독 장르로써 부각되는 일이 느껴지는.. 영화음악.

내가 영화음악이라는 장르에 눈이 떴던 건 2003-04년 무렵.
영화야 뭐 싫어하는 사람이 있겠냐만은 만15세가 되어 볼 수 있던 영화가 늘어난 덕에
여러 영화 DVD를 빌려보고, 아카데미 시상식을 흥미롭게 감상하고,
관람한 영화에 대한 정보를 찾기 시작하고.. 
굳이 계기라고 얘기하자면 이런 것들로 인하여 영화음악은 내게 자연스럽게 다가왔다.

그러던 무렵 보게 된 것이 팀버튼 감독의 Big Fish였다.
때마침 팀버튼의 매력에 눈을 뜨기 시작하던 시절이었고 
"팀버튼의 페르소나" 라는 주제의 팀버튼이 자주 함께 작업한 배우 죠니뎁과 
영화음악가 대니앨프먼이 언급된 글을 읽은지 얼마 안됐을 때 였다.

2004년 3월 초, 의례적인 폭설로 휴교가 된 빅피쉬 개봉일,
친구들을 바리바리 데리고 함께 보러 다녀 온 빅피쉬가
나에게는 "처음으로 음악에 열심히 귀를 기울이며 감상한 영화"가 되었다.
(아니 사실 냉정과열정사이와 시카고가 시간상으로는 먼저였지만..)

이후 원래부터 좋아했지만 본격적으로 관심을 갖기 시작한 히사이시조와
엔니오모리꼬네의 음악을 만난 이후로 내게 영화음악은 크게 자리잡기 시작했다.


이러한 관심 덕일까,
2008년에 만난 라디오 "이주연의 영화음악"은 나에게 큰 충격이었다.
어째서 이 방송을 이제서야 알게 됐을까..

그리고 며칠 전에 용기를 내 이영음에 사연+신청곡을 쓰고 그것이 방송을 탄 것을 들었다.
녹음파일로 들었던 것임에도 불구하고 예상치 못한 순간에 읽어주신지라
너무 좋아서 양손으로 양볼을 감싸안고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들었다.

이주연 아나운서의 아름다운 목소리로 읽히는 사연
그에 이어 위에 언급한 빅피쉬의 테마송이 흘려나오는데..
그 순간에 느낀 희열이란..


여튼 영화음악 하면 영화에 삽입된 "노래"를 무시할 순 없지만
대중음악이 많이 삽입되어 영화음악이라는 장르의 선이 모호해진 요즘,
original score music을 사랑하는 이 마음 또한 간직하고싶어라.


'soul vibr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요병을 앓으며  (0) 2011.03.29
나 좀 비웃을게요 감독님  (0) 2011.03.17
요즘 내 가슴을 뛰게 하는 두 가지  (0) 2011.02.08
El Clásico of the Far East  (3) 2011.01.26
Track 9  (5) 2011.01.20
,

So must all hearts be broken?

from very moment 2011. 2. 18. 05:47

Albert Camus once wrote,
"Blessed are the hearts that can bend. They shall never be broken."
But I wonder.... If there's no breaking, then there's no healing.
And if there's no healing, then there is no learning.
And if there's no learning, then there's no struggle.
But the struggle is a part of life, So must all hearts be broken?

- One Tree Hill 

'very mo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1. 5. 1.  (0) 2011.05.03
천년동안  (0) 2011.04.11
Day & Night  (0) 2010.07.18
sanagi  (0) 2010.06.15
Coming Up Easy  (0) 2010.05.25
,

I think, therefore I am

from hur cosmos 2011. 2. 14. 10:17


생각, 특히 잡생각이야 쉴 새 없이 매일 매일 내가 즐겨하는 활동이기는 하지만, 이번 한 주는 유독 나의 생각을 자극시키고 사고를 돌리는 일이 많았던 한 주 였다. 모터를 머리에 단 듯한 한 주.

이 블로그와 여러 SNS매체들 - 트위터, 싸이월드, 페이스북 - 은 나에게는 크게 세 가지 역할을 해준다.

1. 남들과의 소통
2. 남에게 나의 생각 표현
3. 순수한 토로

물론 저 세가지는 많은 부분 겹치기도 한다. 저 카테고리가 절대적으로 상호 배타적인 부류는 아닌 것 같고 그렇다고 집합을 통해 설명하기엔 나는 수학과의 연을 끊은지 너무 오래 되었다. 여하튼 긴 말을 줄여 내가 SNS를 이용하는 동기를 보면 2번이 70% 가량을 차지하고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때에 따라, 상황에 따라, 기분에 따라 또 여러 SNS를 오가며 나의 용도에 맞게 사용하고는 하는데 그 무엇을 한다 한들 나의 마음이 100% 후련해질 수 없는 이유는 바로 하루에도 오만가지 생각을 하게 만드는 (혹은 하지 못하게 만드는) 현실이다.

그것이 짧은 단상일 경우 140자로 정리하게 만드는 트위터나 facebook status에 써버리면 그만이다. 그렇지만 하루에도 몇 번씩 장문의 글로 정리하고싶어지는 생각이 든다면?

그렇게 내 머리 속에는 일명 "소잿거리"가 하루에 몇 번이고 업데이트가 된다. 그렇지만 다섯의 넷은 허공에 날아가버린다. 시간이 지나 그것이 새삼스러운 혹은 outdated한 주제가 되어버려서. 그 순간 바로 글을 쓸 수 있는 환경이 아니어서. 그것에 대하여 쓰기에는 나의 정신력/체력 소모가 너무 많이 들 듯 해서.

이유야 나열하며 훨씬 더 많다. 근데 저러한 정리들이 나에게 가져다준 결로은 이것이었다:

나는 내가 하고싶은 말의 80%도 하지 못하고 산다.

입이 가볍고 경솔할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이것이다. 생각과 정리를 마치지 못한 상태에서도 내뱉고 "표현"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러나 그것마저도 지금의 내게는 사치이다. 나는 내가 하고 싶은 말은 웬~만하면 다 하고 사는 사람이다 생각했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 내가 하고 싶은 말을 일상 속에서 다 하기에는 대화 상대와 환경의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할 말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자아가 강하단 소리일까. 생각을 줄이는 건 쉽지 않겠지만 말을 줄이는 노력을 하지 않으면 안되겠다 라는 생각을 유독 많이 하게 되는 최근이다. 그렇지만 글로 내 할 말을 하는 것은 말로 하는 것 만큼 경솔하게 되지도 않을 뿐 더러 내뱉어 버린 후의 죄책감도 덜 한 것 같다. 글을 쓰고 사고를 하는 게 조금 더 수월했으면 좋겠다. 지금 이걸 쓰는 것도 너무 힘들다. 그렇지만 앞으로 내가 써나갈 글들을 위해서 이것을 미리 써놓지 않으면 안될 것 만 같다.

어찌됐건 그렇기 때문에 나는 계속 해서 온라인 사의 무언가에 얽매이는 것 같다. 이것으로라도 채울 수 있을 만큼은 채워야 하지 않겠나.




'hur cosm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다리 건너 국대 축구선수덜  (0) 2011.03.22
작약, 꽃무늬, 쉬퐁  (0) 2011.03.09
내 질문의 의도를 간파당함  (0) 2011.02.11
최근에 만난 사람들을 통해 느낀 점 1.  (0) 2011.02.10
Steve's and Soo  (0) 2011.01.13
,


:
XXXX
XX도 부르쥬아&엘리트가 싫어요?



XXXX;
요즘에 하는 생각은 엘리트는 머리가 좋은 사람이 아니라 
좋은 대학 나온 사람이고 좋은 대학은 비싸고
비싼 대학 나올려면 돈 많은 부모의 자식이여 하자나.
그럼 엘리트와 부르쥬아는 부자나 모녀관계라는 결론.

가장 대표적인 예: 조지 부쉬
Texas A & M 에 불합격한 부쉬가 
어떻게 Yale에는 합격을 헀을까???

아마 하고 싶은 질문이 왜 이민자들은 유학생들을 싫어하냐
인것 같은데...

서론이 길었는데 싫어하는 이유 2 개:

1. 성경적이면서 나의 가식적인 이유는 예수님이 가난한고 
낮은 자를 사랑하시고 부유하고 높은 자를 미워하셨고 내가 
좌파이기에 자본주의가 아닌 공산주의를 지지하기 때문.

2. 솔직한 나의 마음은 나도 저 사람들처럼 부모 잘 만나서 
호강하면서 돈 걱정 안하면서 살고 싶다는 질투/열등감과
왜 우리 부모님은 저 부모님들 처럼 능력/돈이 없을까? 라는 
불만에서 나오는 분노를 부르쥬아와 엘리트를 향한 미움으로 표현하는 것이 아닐까 라고 나는 생각해.

1.5세와 이민자들은 고아야.
엄마에게 버림 받은 아이가 고아이드시 조국에게 버림받고
조국에서 얼마나 살기 힘들었으면 인종차별 당하면서도 
남의 나라에서 눈치보며 살아야 하는 고아.
유학생들은 이민자들 보고 영주권/시민권 소유자라고 
부러워할지 모르지만 그건 애 못나는 집에 무자식이
상팔자라고 하는 것과 같은 것이지.

수진아,
XXX나 다른 친구들 만나면 그냥 이뻐해줘 ^^

p.s. XXXX은 水溱이가 유학생이건 부르쥬아건 
엘리트일찌라도 너무나도 많이 사랑한단다 ㅋ 




이 답변을 10cm가 부른 이소라의 바람이 불다를 들으며 
읽었더니 감수성이 확 올라가네 ^^

'hur cosm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약, 꽃무늬, 쉬퐁  (0) 2011.03.09
I think, therefore I am  (2) 2011.02.14
최근에 만난 사람들을 통해 느낀 점 1.  (0) 2011.02.10
Steve's and Soo  (0) 2011.01.13
M에게 쓰는 편지  (0) 2011.01.06
,

소통불가

from careless whisper 2011. 2. 10. 13:15

원만한 소통이 존재하지 않는 관계는
벌써 관계라는 표현을 쓰는 것 마저도 사치가 아니일까.

여하튼 소통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가능할까?
가치관의 차이, 세계관의 차이,
물론 큰 그림으로는 불가능은 존재할 수 있다.

그렇지만 미시적 시야로 보면
결국 내면에는 배타주의와 이기주의
그리고 소통하고자 하는 의지의 부재가 원인이 아닐까 싶다.


'careless whisp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뇌와 번뇌의 시간  (0) 2011.06.20
비상계단에서 쭈구리  (0) 2011.06.15
완전 최근에 하는 고민 하나  (1) 2011.01.13
recalling autumn  (0) 2011.01.05
autumnal depletion  (0) 2010.10.23
,